티스토리 뷰

반응형

과학 실험 영어 에세이 쓰는 방법을 초등 고학년 눈높이로 정리. 질문·가설·준비물·절차·결과·배운 점까지 단계별 아웃라인과 체크리스트를 한 글에 담았다.

A Science Experiment — How to Write an English Essay (Upper Elementary) ❘ 과학 실험 영어 에세이 쓰는 방법 (초등 고학년)

 

Purpose | 목적


Write a clear essay that describes one science experiment you did, what happened, and what you learned.
내가 직접 한 과학 실험을 쉽고 또렷하게 설명하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와 배운 점을 정리한다.

What This Essay Is About | 이 에세이에서는 무엇을 쓰나요?

This essay tells the story of your experiment from start to finish. Explain your question, hypothesis, materials, steps, results, and what you learned. Think of it as a friendly mini science report.

이 에세이는 실험의 시작부터 끝까지를 이야기 형식으로 정리하는 글이다. 실험 질문, 가설, 준비물, 절차, 결과, 배운 점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읽기 쉬운 작은 과학 보고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Before You Write: Choose & Plan | 쓰기 전: 주제 선택과 계획

Steps | 단계

  1. Pick a simple experiment you actually did (e.g., Which paper towel absorbs more water?).
  2. Write your question: What are you trying to find out?
  3. Make a hypothesis: What do you think will happen, and why?
  4. List materials and define variables (what you change vs. what you keep the same).
  5. Do the experiment and take notes (numbers, times, photos).

미리 준비

  1. 실제로 해 본 간단한 실험을 고른다(예: 어떤 종이타월이 물을 더 잘 흡수할까?).
  2. 질문을 적는다: 무엇을 알아보려는가?
  3. 가설을 세운다: 무엇이 일어날 것 같은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4. 준비물을 목록화하고 변인을 정한다(바꾸는 것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
  5. 실험을 수행하며 숫자·시간·사진 등으로 꼼꼼히 기록한다.

Quick Planner | 빠른 계획표

  • Question → Hypothesis → Materials → Steps → Results → Learning
  • 질문 → 가설 → 준비물 → 절차 → 결과 → 배운 점

Suggested Structure (5 Paragraphs) | 추천 구성 (5문단)

  1. Introduction: Hook + question + hypothesis.
  2. Materials & Setup: What you used and how you prepared.
  3. Procedure: Step-by-step, in order.
  4. Results: What happened (numbers, changes, surprises).
  5. Conclusion & Learning: Whether your hypothesis was right or wrong, what you learned, and your next idea.

  6. 도입: 관심을 끄는 문장 + 질문 + 가설
  7. 준비물과 설정: 사용한 것과 준비 과정
  8. 절차: 단계별로, 순서대로
  9. 결과: 일어난 일(숫자, 변화, 예상 밖의 점)
  10. 결론과 배움: 가설의 맞고 틀림, 배운 점, 다음 아이디어

Length Guide | 분량 가이드

  • About 150–200 words total (≈10–14 sentences)
  • 총 약 150–200단어(문장 10–14개)

Outline You Can Copy | 그대로 써먹는 아웃라인

Introduction | 도입

  • Hook: "Have you ever wondered …?" / "나는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
  • Question: "My question was …"
    • 질문: "나의 질문은 …였다"
  • Hypothesis: "I thought that … because …"
    • 가설: "…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

Materials & Setup | 준비물과 설정

  • List materials (3–6 items)
    • 준비물을 3–6개로 정리한다.
  • Describe setup in 1–2 sentences
    • 준비 과정을 1–2문장으로 설명한다.

Procedure | 절차

  • Step 1, Step 2, Step 3… (3–5 steps)
    • 1단계, 2단계, 3단계…(3–5단계)로 쓴다.

Results | 결과

  • Describe what happened (use numbers if possible)
    • 무엇이 일어났는지 설명한다(가능하면 숫자를 사용한다).

Conclusion & Learning | 결론과 배움

  • Was the hypothesis correct?
    • 가설이 맞았는가?
  • What I learned
    • 무엇을 배웠는가
  • What I would try next
    • 다음에 무엇을 시도할 것인가

Sentence Starters & Word Bank | 문장 시작어 & 단어 은행

Useful Verbs: observe, measure, compare, test, record, absorb, float, sink, melt, freeze
자주 쓰는 동사: 관찰하다, 측정하다, 비교하다, 시험하다, 기록하다, 흡수하다, 뜨다(떠오르다), 가라앉다, 녹다, 얼다

Transitions: first, next, then, after that, finally, however, because, therefore
이어주는 말: 먼저, 다음으로, 그런 뒤, 그 후에, 마지막으로, 그러나, 왜냐하면, 그래서

Sentence Starters | 문장 시작 예시

  • "My question was …"
  • "I predicted that … because …"
  • "To test this, I …"
  • "First, I … Next, I …"
  • "The results showed …"
  • "I learned that …"

  • "나의 질문은 …였다"
  • "나는 …라고 예측했다. 그 이유는 …"
  • "이를 확인하기 위해 나는 …"
  • "먼저 … 했다. 다음으로 … 했다"
  • "결과는 …를 보여 주었다"
  • "나는 …를 배웠다"

Write Each Paragraph | 문단별로 이렇게 쓰기

1) Introduction (Hook, Question, Hypothesis) | 도입(관심 끌기, 질문, 가설)

Start with a hook that makes the reader curious. State your question and hypothesis clearly.

읽는 이가 궁금해지도록 한 문장으로 시작하고, 질문과 가설을 분명하게 적는다.

Mini-Model | 예문

  • "Have you ever wondered which paper towel absorbs the most water? My question was which brand is the most absorbent. I thought Brand A would win because it feels thicker."
  • "어떤 종이타월이 물을 가장 많이 흡수하는지 궁금했던 적 있나요? 나의 질문은 어떤 브랜드가 가장 흡수력이 좋은가였다. 나는 두께가 더 두꺼워 보이는 A브랜드가 이길 것이라고 생각했다."

2) Materials & Setup | 준비물과 설정

List everything you used and explain how you set it up in one or two sentences.

사용한 모든 준비물을 적고, 1–2 문장으로 어떻게 준비했는지 설명한다.

Mini-Model | 예문

  • "I used two brands of paper towels, a measuring cup, two plates, and 100 mL of water. I placed equal-sized sheets on the plates."
  • "나는 두 브랜드의 종이타월, 계량컵, 접시 두 개, 물 100 mL를 사용했다. 같은 크기의 종이타월을 접시에 올려두었다."

3) Procedure | 절차

Explain the steps clearly in order. Use transition words.

순서대로 또렷하게 설명하고 이어주는 말을 사용한다.

Mini-Model | 예문

  • "First, I poured 50 mL of water onto each sheet. Next, I waited one minute. Then I lifted each towel and measured the water left on the plate."
  • "먼저 각 종이타월 위에 물 50 mL를 부었다. 다음으로 1분을 기다렸다. 그런 뒤 종이타월을 들어 올리고 접시에 남은 물의 양을 측정했다."

4) Results | 결과

Tell what happened. Use numbers and comparisons when possible.

무엇이 일어났는지 말한다. 가능하면 숫자와 비교를 넣는다.

Mini-Model | 예문

  • "Brand A left 10 mL of water, while Brand B left 22 mL. Therefore, Brand A absorbed more."
  • "A브랜드는 10 mL가 남았고 B브랜드는 22 mL가 남았다. 따라서 A브랜드가 더 많이 흡수했다."

5) Conclusion & Learning | 결론과 배운 점

Say whether your hypothesis was correct and explain what you learned and what you would try next.

가설이 맞았는지 밝히고, 배운 점과 다음에 해 보고 싶은 것을 적는다.

Mini-Model | 예문

  • "My hypothesis was correct. I learned that thickness can affect absorbency. Next time, I would test three brands and try hot and cold water."

  • "나의 가설은 맞았다. 두께가 흡수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배웠다. 다음에는 세 가지 브랜드를 비교하고 온수와 냉수도 시험해 보고 싶다."

Checklist for Revising & Editing | 고쳐쓰기·맞춤법 체크리스트

Revise (Ideas & Organization) | 고쳐쓰기(내용·구성)

  • Does the introduction include the question and hypothesis?
  • Are the steps in the correct order with clear transitions?
  • Do the results include numbers or clear observations?
  • Does the conclusion explain learning and next steps?

  • 도입에 질문과 가설이 들어 있는가?
  • 절차가 이어주는 말과 함께 올바른 순서로 쓰였는가?
  • 결과에 숫자 또는 분명한 관찰이 있는가?
  • 결론에 배운 점과 다음 계획이 있는가?

Edit (Sentences & Mechanics) | 문장·표기 다듬기

  • Use capital letters at the beginning of sentences, and end sentences with periods.
  • Spell scientific terms correctly.
  • Use the past tense to describe what happened.
  • Write units correctly and include proper spacing (e.g., 100 mL, 25 °C).

  • 문장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쓰고, 끝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 과학 용어의 철자를 정확히 쓴다.
  • 지난 일을 설명할 때는 과거 시제를 사용한다.
  • 단위(mL, °C)를 정확히 쓰고 숫자와 단위 사이를 띄어 쓴다(예: 100 mL, 25 °C).

Rubric (Quick Score) | 짧은 평가 기준표

4 Excellent: All parts included; clear steps; accurate results with numbers; thoughtful learning.
3 Good: Most parts included; steps mostly clear; some numbers; learning stated.
2 Developing: Missing parts; steps confusing; few details; learning unclear.
1 Beginning: Many parts missing; hard to follow; no results or learning.

4 매우 좋음: 모든 요소 포함, 절차가 명확, 숫자 있는 결과, 배움이 깊다.
3 좋음: 대부분 포함, 절차 대체로 명확, 숫자 일부, 배움 제시.
2 보통: 일부 누락, 절차가 혼란스러움, 세부 부족, 배움 불분명.
1 시작 단계: 다수 누락, 따라가기 어려움, 결과·배움 없음.

Common Mistakes & Fixes | 자주 하는 실수와 해결법

Mistake: Writing only what you did, not the question or hypothesis.
Fix: Add a clear question and a prediction with a because-clause.

실수: 한 일만 적고 질문·가설을 빼먹는다.
해결: 분명한 질문과 "… 이기 때문에"가 포함된 예측을 넣는다.

Mistake: No numbers in the results.
Fix: Measure and record time, mass, volume, or temperature.

실수: 결과에 숫자가 없다.
해결: 시간·질량·부피·온도를 측정해 기록한다.

Mistake: Steps out of order.
Fix: Use first, next, then, finally.

실수: 절차 순서가 뒤바뀐다.
해결: 먼저/다음으로/그런 뒤/마지막으로를 사용한다.

Print-Friendly Templates | 출력해서 쓰는 템플릿

Outline Template | 아웃라인 템플릿

Titl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Ques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
Hypothesis (because…): _____________
Materials: _________________________
Steps: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Results (numbers/changes): _________
Conclusion (what I learned): _______
Next idea: _________________________

Template.png
1.18MB

 

Data Table | 기록표

Trial What I Changed What stayed the same Measurment
1      
2      
3      

 

 

Self-Check | 자기 점검표

[ ] I wrote my question and hypothesis.
[ ] I listed materials and steps in order.
[ ] I included numbers in my results.
[ ] I explained what I learned and a next idea.
[ ] 질문과 가설을 썼다.
[ ] 준비물과 절차를 순서대로 적었다.
[ ] 결과에 숫자를 포함했다.
[ ] 배운 점과 다음 아이디어를 설명했다.

 

Challenge & Extensions | 심화 활동

Try a harder variable (e.g., temperature, size, or time) and make a bar chart from your data. Add one sentence comparing your results to your hypothesis.

온도·크기·시간 같은 변인을 바꾸어 난이도를 높이고, 기록한 데이터로 막대그래프를 그려 본다. 결과를 가설과 비교하는 문장을 한 줄 추가한다.

Quick Phrases for Reflection | 배운 점을 정리하는 한 줄 문장

  • "This experiment taught me that …"
  • "Next time, I will change … to see if …"

  • "이 실험을 통해 …라는 것을 배웠다."
  • "다음에는 … 을 바꾸어 … 인지 확인해 보겠다."

Ready-to-Use Topic Ideas | 바로 쓸 수 있는 주제 아이디어

  • Which paper airplane design flies the farthest?
  • Does salt change the freezing point of water?
  • Which soil helps a plant grow faster?
  • Which paper towel absorbs more water?

  • 어떤 종이비행기 모양이 가장 멀리 날까?
  • 소금은 물의 어는점을 바꾸는가?
  • 어떤 흙이 식물 성장을 더 빠르게 도울까?
  • 어떤 종이타월이 물을 더 많이 흡수할까?

관련글

 

👉초등 고학년 영어 에세이 모음📘 다양한 주제로 쓰기 연습하기

 

 

 

 

초등 고학년 영어에세이

 

👉학년별 영어 에세이 작성 팁📚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 성인까지 단계별 가이드

 

 

 

 

영어에세이 학년별 작성팁

반응형